Layer 2 scaling(2)

Layer 2 scaling(2)

2021, Jun 07    

비탈릭 부테린은 “롤업 중심의 로드맵“이라는 글에서 오랜 인내(?)가 필요한 이더리움 PoS 전환 과정에서 L2 솔루션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L1에서 성능 문제가 확실히 개선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데, 최근 다양한 L2 솔루션들, “Optimism”, “Arbitrum”, “Loopring”, “zkSync” 등의 롤업 기반 솔루션들이 큰 진전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들 솔루션들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이더리움의 개발 로드맵의 우선 순위를 조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내놓은 것입니다.

In a further twist of irony, eth2’s usability as a data availability layer for rollups comes in phase 1, long before eth2 becomes usable for “traditional” layer-1 applications. These facts taken together lead to a particular conclusion: the Ethereum ecosystem is likely to be all-in on rollups (plus some plasma and channels) as a scaling strategy for the near and mid-term future.

즉 이더리움 2.0이 L2 트랜잭션 데이터의 “data availability layer”의 용도로 사용되면 결국 L2 롤업 솔루션들이 이더리움과 마치 하나처럼 움직이게 될 것이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앞서 플라즈마가 가진 문제는 L2에서 벌어지는 트랜잭션에 대한 “Data availability”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롤업은 그것을 해결하면서 처리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심지어 롤업이 정착되면 Phase 2에서 샤딩이 구현되어 성능 개선이 되더라도 사람들이 관심을 끌지 못할 것이라는 말도 하고 있습니다.

It seems very plausible to me that when phase 2 finally comes, essentially no one will care about it.

그렇다면 “롤업”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많은 지지와 관심을 받는 것일까요?

롤업은 한마디로 말하면 트랜잭션 실행은 L2에서 수행하지만 데이터를 L1에 기록하므로써 L1이 가진 높은 신뢰성을 이용하자는 것입니다. 물론 단순히 트랜잭션 데이터 그대로 저장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를 압축하고 암호학적으로 증명 가능한 방법으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현재 롤업에는 ZK롤업(ZK-rollups)과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s) 2가지가 있습니다.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ZK롤업은 “validity proof”이고 옵티미스틱 롤업은 “fraud proof” 라는 것입니다. 이더리움 개발자 사이트에 있는 롤업의 설명을 인용하면:

Zero knowledge rollups: runs computation off-chain and submits a validity proof to the chain Optimistic rollups: assumes transactions are valid by default and only runs computation, via a fraud proof, in the event of a challenge

ZK Rollup

트랜잭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는 L2 솔루션에서 공통적인 문제입니다. 그렇다고 L2에서 일어나는 트랜잭션을 항상 감시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입니다. zkSync는 ZK롤업을 실제 이더리움 메인넷에 적용한 좋은 사례입니다. zkSync를 개발한 Matter Labs의 설명을 인용해 보겠습니다.

In a ZK-Rollup, operator(s) must generate a succinct Zero-Knowledge Proof (SNARK) for every state transition, which is verified by the Rollup contract on the mainchain. This SNARK proves that there exists a series of transactions, correctly signed by owners, which update the account balances in the correct way, and which lead from the old Merkle root to the new one. It is thus impossible for the operators to commit an invalid or manipulated state.

L2의 오퍼레이터는 트랜잭션을 “영지식증명(Zero Knowlegde Proof)”에 기반한 “SNARK(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이라는 증명(proof)으로 만들어서 L1의 롤업 컨트랙트의 검증을 받습니다. 그런데 이 “SNARK”은 트랜잭션들의 서명과 잔액의 증감이 올바르다는 것을 암호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므로 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트랜잭션의 유효성이 검증(validity proof)되기 때문에 최종 상태변경은 즉시 L1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트랜잭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시간을 주는 “challenge period”가 필요하지 않은 것입니다.

“영지식증명”이라는 것이 익명성을 보장해주는 암호기술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롤업에서는 익명성보다는 L2에서 발생한 많은 트랜잭션을 전부 공개하지 않고도 트랜잭션들이 모두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결국 트랜잭션 데이터를 L1에 유지하면서도 암호학에 기반한 검증을 “온체인”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ZK롤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2의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L1에서 합의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ZK롤업에서 영지식증명의 요소는 다음과 같이 매칭될 수 있습니다.

  1. Secret: 공개하지 않는 것(트랜잭션 데이터)
  2. Prover: SNARK를 만들어서 L1에 제출(Relayers)
  3. Verifier: L1의 롤업 스마트 컨트랙트

하지만 영지식증명에 기반한 “validity proof”를 검증하는데 드는 가스비용이 다소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비탈릭 부테릭 에 의하면 약 50만 가스가 소비). 또 아직까지는 이더나 토큰 전송같은 송금 트랜잭션만이 가능합니다.

영지식증명(Zero Knowlegde Proof)

도대체 ZK롤업에서 사용하는 “영지식증명”이라는 “마법”은 무엇일까요? 두 개의 비유적 설명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영지식증명을 설명할 때 자주 나오는 예는 “알리바바의 동굴”입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제시합니다.

  1. Verifier와 Prover는 동굴 밖에 있습니다.
  2. Prover는 자신이 동굴 안에 있는 잠겨진 문을 열 수 있는 키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3. Verifier는 함께 들어가서 문을 열어보자고 합니다. 또는 키를 자신에게 주면 직접 들어가서 확인하겠다고 합니다.
  4. Prover는 Verifier를 믿지 않기 때문에 키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이 키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려고 합니다.

영지식증명의 이론은 이렇게 Verifier를 믿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했습니다. 보통은 나쁜 의도를 가진 Prover가 Verifier를 속이는 것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에 관심을 갖습니다. 대부분의 인증 시스템(Verifier)은 개인 정보를 관리하면서 사용자(Prover)들이 본인임을 증명해야 합니다. 영지식증명은 키를 전혀 노출시키지 않고서도 이것이 가능함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fig01

  1. Verifier는 동굴 밖에서 기다리고 Prover가 동굴 안으로 먼저 들어갑니다. 동굴 밖에서는 동굴 안이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2. Prover는 A 또는 B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A로 들어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3. 이제 Verifier가 동굴 안으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Prover는 이미 사라진 상태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습니다.
  4. Verifier는 Prover에게 B로 나오라고 소리칩니다.
  5. Prover는 가지고 있는 키로 문을 열고 B로 나옵니다.
  6. Verifier는 처음에 Prover가 B 방향으로 들어가서 그냥 되돌아 나온 것일 수도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수 있습니다.
  7. Verifier와 Prover는 다시 첫번째 단계로 되돌아서 같은 일을 반복합니다.

매번 어느 쪽으로 나오라고 할지 알 수 없지만 Prover는 키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관없을 겁니다. 만약에 Prover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면? 20번을 반복했을 때 Prover가 키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Verifier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확률은 어느 정도 일까요? A와 B 확률 50% 이므로 백만분의 1 정도의 확률(1/2 * 1/2 * …)을 가집니다. 즉 Prover가 키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Verifier의 지시대로 움직일 확률이 백만분의 1이라는 것입니다. Verifier는 충분히 많은 반복을 시행한 후에 드디어 Prover가 키를 가지고 있음을 확신하게 됩니다.

또 한가지 설명은 존스홉킨스 컴퓨터학 교수 매튜 그린이 쓴 입니다.

앨리스(Verifier라고 하겠습니다)는 텔레콤 사업자로 기지국 간 주파수 간섭때문에 서비스 품질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3개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하면 간섭으로 인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만약 앨리스의 이동 통신망이 넓은 지역에 걸쳐서 있고 또 복잡하다면 서로 다른 3개의 주파수를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 계산할 엄두가 나지 않을 것입니다(더구나 3개의 주파수 대역만으로 중복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지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앨리스는 최고의(?) IT 기업 구글(Prover라고 하겠습니다)에게 이 작업을 의뢰하기로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답을 찾기 위해서 구글은 꽤 많은 컴퓨팅 자원을 동원하여 계산을 해야 합니다(비용이 듭니다). 앨리스는 이 문제에 대한 확실한 답을 확인하기 전에는 그 비용을 내지 않을 생각입니다(구글이 문제의 답이 존재할 수 없다고 하면서 비용만 청구할 때).

fig02

반대로 구글은 앨리스가 답을 확인하기 전에 비용을 먼저 낼 것을 요구합니다. 물론 앨리스와 구글이 서로 (법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계약서를 쓰면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영지식증명을 설명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글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합니다.

  1. 우선 큰 창고를 빌립니다.
  2. 먼저 앨리스가 들어가서 이동 통신망을 종이에 그려놓고 창고에서 나옵니다.
  3. 다음에는 구글이 들어가서 자신들의 솔루션을 3가지 색으로 표시합니다. 색을 칠한 후에는 그 위에 모자를 덮어놓고(그래서 색이 보이지 않습니다) 창고에서 나옵니다.
  4. 다시 앨리스가 창고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모자 때문에 구글이 정말 답을 알고 있는지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5. 구글은 앨리스가 인접한 두 개의 모자만을 제거하여(하나의 엣지만 노출될 수 있도록) 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fig03

앨리스는 이 과정에서 다음 두 가지 경우 중 하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서로 다른 색이라면 구글이 정말 정답을 알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② 서로 같은 색이라면 구글은 나를 속이는 것이다.

②가 나오면 확실하게 구글은 답을 모르는 것이므로 비용을 지불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나 ①의 경우라면? 앨리스는 확신이 서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구글과 앨리스는 동일한 과정(2~5)을 또 한번 실행합니다. 구글은 매번 색을 바꾸어 가면서 칠합니다(똑같은 색을 배치하면 앨리스가 계속 다른 모자를 제거하여 결국은 전체 정답을 알아낼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충분히 많은 반복 실행을 통해서 계속 ①번이 나온다면, 즉 서로 인접한 셀이 다른 색이라면 앨리스는 구글이 답을 알고 있다고 확신하게 됩니다.

영지식증명의 세 가지 속성이 있습니다.

  1. 완전성(Completeness)
    구글이 진실을 말한다면 앨리스는 그것을 믿어야 합니다. 즉 충분한 반복 실행으로 계속 다른 색이 나왔다면 구글이 답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물론 확률적인 것이지만 매우 높은 확률입니다).
  2. 신뢰성(Soundness)
    구글은 거짓말로 앨리스를 속일 수 없습니다. 즉 구글이 정답을 모르면서도 정답을 아는 척 앨리스를 속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3. 영지식성(Zero-knowledgeness)
    앨리스는 구글의 색 배치 정보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영지식증명은 true/false 이외의 그 어떤 정보도 노출되지 말아야 하는데 모자를 제거하여 확인한 일부의 배치 정보가 노출되기 때문에 영지식성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과연 앨리스는 구글이 알아낸 배치 정보를 전혀 알아낼 수 없을까요? 이러한 “모자 프로토콜”에서는 그 어떤 경우라도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없을까요? 그 방법이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일부라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면? 매튜 그린 교수는 “사고 실험(thought experiment)”을 통해 “영지식성”이 성립한다고 말합니다.

앨리스가 색 배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또 구글은 사실 주파수 배치에 관한 답을 찾지 못했다고 합시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황당한 가정이지만) 구글은 몇 분전 과거로 돌아가는 타임머신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앨리스가 모자를 제거했을 때 동일한 색이 나오면 타임머신을 실행하여 과거로 가서 배치를 바꾸는 겁니다! 같은 색이 나올 때마다 타임머신을 가동합니다! 그러나 앨리스는 이 사실을 모른채 구글이 정답을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앨리스는 그 배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앨리스가 알아낸 배치는 원하는 답이 될 수 있을까요?

여기서 모순이 발생합니다. 앨리스가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어떤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정상적인 경우와 타임머신으로 “조작된”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두 경우는 모두 Verifier 앨리스에게는 동일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구글이 타임머신을 사용한 경우는 배치 정보가 사실 “0”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타임머신을 사용한 이유가 구글조차 주파수 배치에 대한 답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배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하는 앨리스의 방법이라는 것은 처음부터 말이 안되는 가정이 됩니다(궤변이라는 느낌이 들긴 하지만😂).

Optomistic Rollup

옵티미스틱(OP) 롤업은 (개발팀이 플라즈마 그룹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플라즈마와 여러 면에서 유사합니다. fraud proof 방식이고, L2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L1에 전송한다는 점, 그리고 약 1주일 정도의 challenge period가 있다는 점 등이 비슷합니다. 다만 플라즈마가 머클 루트 같은 트랜잭션 검증에 필요한 해쉬 값을 기록했다면 OP롤업은 트랜잭션 데이터라는 점이 다릅니다. 트랜잭션 데이터를 L1에 저장하므로 Data availability에 대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옵티미스틱 롤업은 기존 이더리움(Geth, EVM, Solidity 등)을 수정하여 L2를 구성합니다. OVM, O-Solidity, O-Geth 등 그래서 ZK롤업과는 달리 스마트 컨트랙트도 L2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OP롤업과 ZK롤업을 L2의 가장 좋은 솔루션이라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궁극적으로는 ZKP에 의해 즉시 검증되는 ZK롤업(그러나 아직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을 하지 못하는)에 더 기대를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In general, my own view is that in the short term, optimistic rollups are likely to win out for general-purpose EVM computation and ZK rollups are likely to win out for simple payments, exchange and other application-specific use cases, but in the medium to long term ZK rollups will win out in all use cases as ZK-SNARK technology improves.